[이슈워치] 이란 '韓 선박 나포' 왜?…정부 "신속해결" 총력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 한국 국적의 선박이 호르무즈 해역에서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됐습니다,<br /><br />정부는 청해부대를 급파하는 한편, 상황 파악과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집중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신새롬 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신 기자, 우선 우리 선박의 억류 경위와 과정부터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유조선 '한국케미'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된 건 한국시간으로 어제 오후 4시쯤입니다.<br /><br />선박은 메탄올 등 화학물질을 싣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출항해 아랍에미리트로 향하던 중이었는데요.<br /><br />호르무즈 해협 오만 인근 해역에서 나포된 뒤, 현재는 이란의 남부 반다르아바스 항에 억류 중입니다.<br /><br />배에는 선장과 항해사, 기관장 등 한국 선원 5명을 포함해 모두 20명이 승선 중이었으며, 현재 모두 안전한 상황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나포 직전까지 부산에 위치한 선박 회사는 선장과 위성 전화로 실시간 상황을 확인했고, 배에 설치된 CCTV에도 혁명수비대 접근과 나포 장면이 항구에 도착하기까지 모두 담겼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건 발생 직후 우리 군은 청해부대를 급파했죠.<br /><br />외교부도 조속한 해결을 위해 나섰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청해부대 최영함이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 도착한 것은 오늘(5일) 새벽입니다.<br /><br />전날 오만의 무스카트항 남쪽 해역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중 우리 선박의 나포 상황을 접수한 직후 급파됐습니다.<br /><br />현장에 도착한 청해부대는 나포 상황을 주시하는 한편, 호르무즈 해협을 왕래하는 우리 상선 보호 등의 활동을 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바레인에 있는 연합해군사령부를 비롯해 외교부, 해양수산부 등과 긴밀히 협력해 상황에 대응해 나갈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외교부는 사건 발생 직후, "억류 관련 상황 파악과 선원 안전 확인하고 조기 억류 해제를 요청 중"이라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오늘(5일) 오후 주한 이란대사 초치도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고경석 아프리카중동국장은 오후 1시쯤 외교부 청사에 도착한 사이드 바담치 샤베스타리 주한 이란대사를 면담했고, 외교부는 "외교 채널을 최대한 가동하면서 이 문제의 조기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"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란 측은 나포 사유가 '환경 규제 위반' 때문이라는 입장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대이란 제재 완화를 위한 의도적 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나포 직후 혁명수비대는 성명을 내고 "해당 선박이 해양 환경 규제를 반복적으로 위반했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이란 외무부 역시 입장은 비슷합니다.<br /><br />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"이 사안은 완전히 기술적인 것"이라며, "해당 선박은 해양 오염에 대해 조사하라는 법원의 명령에 따라 조치된 것"이라고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한국케미의 선사인 디엠쉽핑 측은 "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았다"며, 나포 사유를 납득하기 어렵다는 입장이고요.<br /><br />또 위반이 사실이라 해도 이 같은 수준의 대응이 과연 필요했는지 납득되지 않는 부분도 있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 때문에 그간 한국이 미국의 대이란 제재를 이행하는 차원에서 교역과 금융거래를 중단한 것에 대한 불만이 주된 억류 배경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 대변인도 이 같은 주장에 힘을 실어 "이란이 걸프만에서 항행의 자유를 위협해 대이란 제재 완화를 강요하려고 한다"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걸프 해역 입구인 호르무즈 해협은 전 세계 해상 원유 수송량의 약 3분의 1이 지나는 전략적 요충지로, 이란은 미국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해협 봉쇄를 위협했고 여러 차례 선박을 나포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우리 정부가 향후 어떻게 대응할 계획인지도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무엇보다 정부는 가장 이른 시일 내, 선박과 선원들의 억류 해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이란 외교당국과도 협력하고 노력할 방침이라는 설명인데요.<br /><br />현지 교섭을 위한 대표단도 파견됩니다.<br /><br />가장 이른 시일 내 담당 지역 국장을 실무반장으로 하는 대표단을 급파해, 이란 측과 양자 교섭을 통해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또 이미 이번 사건이 발생하기 전부터 예정됐던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의 이란 방문도 이뤄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최 차관은 한국 내 은행에 동결된 이란중앙은행 자금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는데요.<br /><br />선박 억류 문제 등을 비롯해 양국의 관심사를 폭넓게 협의할 예정인 만큼, 이번 사건의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외교부에서 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. (ro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